세상에는 참 많은 것들이 존재합니다.
같다. 고 말할 수 있는 존재들
다르다. 고 말할 수 있는 존재들
장미와 철쭉은 ‘꽃’이라는 울타리로는 ‘같다’ 고 할 수 있고요.
‘모양’을 구분하면 ‘다르다’ 고 할 수 있는 존재들입니다.
사람도 마찬가지겠지요?
‘사람’이라는 울타리로 놓고 ‘같지 않은’ 존재들이 없으며,
개개인으로 ‘다르지 않은’ 존재들이 없습니다.
하지만, 우린 ‘다름’ 에 대해 너그럽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.
편을 가르고,
울타리를 치고,
소수자를 박해하곤 합니다.
아무도 차별 받을 이유 같은 건 없는데도 말이죠.
책이있는 글터는 테마북으로,
차별과 소수자에 관한 책들을 모아봅니다.
‘모두가 소중한 존재임을 돌아보게 하는 책들’ 이라고 해도 될 것 같네요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번호 | 책이름 | 작가 | 출판사 |
1 | 우리 옆의 약자 | 이수현 | 산지니 |
2 | 슬픈 열대 | 레비 스트로스 | 한길사 |
3 | 독신의 탄생 | 엘리자베스 애보트 | 해냄 |
4 | 폭력의 세기 | 한나 아렌트 | 이후 |
5 | 하류 사회 | 미우라 아츠시 | 씨앗을뿌리는사람들 |
6 | 슬픈 열도 | 김충식 | 효형출판 |
7 | 글로리아 스타이넘 | 캐롤린 하이브런 | 해냄 |
8 | 타인의 고통 | 수잔 손택 | 이후 |
9 | 국경없는 의사회 | 엘리어트 레이턴 | 우물이 있는 집 |
10 | 대마를 위한 변명 | 유현 | 실천문학사 |
11 | 부안 끝나지 않은 노래 | 고길섶 | 앨피 |
12 | 마광수 살리기 | 강준만 외 | 중심 |
13 | 끝나지 않은 시다의 노래 | 전순옥 | 한겨레신문사 |
14 | 화해를 위해서 | 박유하 | 뿌리와이파리 |
15 | 적대적 공범자들 | 임지현 | 소나무 |
16 | 우리 안의 이분법 | 권용립 외 | 생각의 나무 |
17 | 살아있는 무명용사 이야기 | 장 이브 르 나우르 | 생각의 나무 |
18 | 경계에서 말하다 | 조한혜정 외 | 생각의 나무 |
19 | 바퀴벌레 | 데이비드 조지 고든 | 뿌리와이파리 |
20 | 잡초는 없다 | 윤구병 | 보리 |
21 | 우리시대의 소수자운동 | 윤수종 | 이학사 |
22 | 어느 소수자의 사유 | 고길섶 | 문학과학사 |
23 | 침묵하는 소수 | 시오노 나나미 | 한길사 |
24 | 다르게 사는 사람들 | 윤수종 | 이학사 |
25 | 차이의 정치-이제 소수를 위하여 | 이남석 | 책세상 |
26 | 여성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 | 최재천 | 궁리 |
27 | 왜 여성사인가 | 거다 러너 | 푸른역사 |
28 | 학교에서 평등을 말하다 | 곽해룡 | 삼성경제연구소 |
29 | 남자와 여자 정말 평등할 수 있을까 | 루시엥 샤비 | 민음IN |
30 | 젠더 불평등 | 주디스 로버 | 일신사 |
31 |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| 신광영 | 을유문화사 |
32 | 양성평등과 적극적 조치 | 김경희 | 푸른사상사 |
33 | 불평등의 패러독스 | 김만권 | 개마고원 |
34 | 불평등 사회의 인간존중 | 리차드 세넷 | 문예출판사 |
35 | 사람은 누구나 평등해요 | 조 호에스틀랜드 | 여명 |
36 | 함께 이루는 남녀평등 | 심영희 외 | 나남 |
37 | 휴머니즘과 폭력 | 모리스 메를로 퐁티 | 문학과지성사 |
38 | 나는 폭력의 세기를 고발한다 | 박노자 | 인물과사상사 |
39 | 비폭력 교과서 | 아키 유키오 | 부키 |
40 | 폭력과 상스러움:진중권의 엑스 리브리스 | 진중권 | 푸른숲 |
41 | 사이시옷 | 손문상 | 창비 |
42 | 인종차별 야만의 색깔들 | 타하르 벤 젤룬 | 상형문자 |
43 | 차별 싫어요 | 플로랑스 뒤떼이 | 푸른숲 |
44 | 세계인권사상사 | 미셸린 이샤이 | 길 |
45 | 역사를 만드는 이야기 | 전쟁과여성인권센터 연구팀 | 여성과인권 |
46 | 평등할 권리 | 모린 오코너 | 승산 |
47 | 진실을 외쳐라 | 케리 케네디 | 뿌리와이파리 |
48 | 의술은 국경을 넘어 | 나카무라 테츠 | 산지니 |
49 | 편견을 넘어 평등으로 | 김동춘 | 창비 |
50 | 인권이론과 실천 | 마이클 프리먼 | 아르케 |
51 | 조영래 | 박상률 | 사계절 |
52 | 인권 그 위선의 역사 | 커스턴 셀라스 | 은행나무 |
53 | 성적 소수자의 인권 | 한인섭 외 | 사람생각 |
54 | 사법살인 | 천주교인권위원회 | 학민사 |
55 | 외국인 이주노동자 인권백서 |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| 다산글방 |
56 | 일상의 억압과 소수자의 인권 | 한국인권재단 | 사람생각 |
댓글을 달아 주세요